자유연재 > 일반/역사
귀향 (세르반테스를 만난 조선인)
작가 : 윤준식 YOON
작품등록일 : 2022.1.23
  첫회보기
 
34. 고백 (Confesión)
작성일 : 22-02-10     조회 : 217     추천 : 0     분량 : 4327
뷰어설정열기
기본값으로 설정저장
글자체
크기
배경색
글자색
맑은고딕 나눔고딕 돋움 굴림 궁서 바탕
13 15 17 19 21

  34. 고백

 

 “석희, 내가 할 말이 있네.”

 

 평소 쓰네나가는 근엄한 얼굴로, 자신에게 부여된 임무에 만 충실했다. 그가 주는 무게감 때문인지, 석희도 늘 그와 거리를 두고 자신의 역할 만을 해왔다. 석희도 쓰네나가도 개인적인 이야기를 먼저 꺼내지 않았다.

 

 다만 서로를 존중하는 입장에 있었음을 여행 동안 있었던 여러 가지 일들을 통해 경험했다. 그렇게 석희의 능력에 대해, 늘 인정해줘고, 표시나지 않게나마 배려를 해주었던 쓰네나가가 석희에게 다가와 말을 걸었다.

 

 날이 밝으면 다시 먼 항해를 시작해야 하는 상황에서, 늦은 밤까지 잠을 자지 못 하고 석희를 찾은 것이다.

 

 “지난 번 여행 중에도 말했던 것 같은데, 우리 집안은 신라계에 뿌리를 두고 있다네. 말하자면 우리는 도래인이고, 11세기 초에 한반도에서 건너와 미야기현 시바다군에 자리를 잡았다네.

 선조들은 철을 잘 다뤄 농기구와 무기들을 만드는 일에 종사했다고 하네. 물론 칼을 잘 다루는 사무라이라는 존재도 거기서 나왔다고 하지. 내가 사무라이인 것도 다 그 뿌리는 도래인 선조들에 두고 있는 것이겠지.

 

 조선인들은 알지 못 하겠지만, 일본에서의 역사 역시, 백제계와 신라계의 끊임없는 다툼이었고, 그 양상에 따라 한반도에 영향을 미쳤던 것이네.

 

 백제가 한반도에서 완전히 밀려난 후, 일본에서는 둘 간의 충돌이 더욱 심해졌네. 한반도는 신라계가 주류를 이뤘고, 그것은 일본 내의 패권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네.

 

 결국에 가서는 일본은 백제계가 주류를 형성하게 되었지만, 일본의 통일과정에서도 이런 경쟁이 표출되었고, 그것을 다른 쪽으로 돌리기 위해 한반도를 침략한 것이네.

 

 다시 말해, 일본의 한반도 진출은, 전쟁을 통해 신라계와 백제계가 하나가 되는 계기를 만들었다네. 외부와의 전쟁을 통해 내부의 적들은 서로 싸움을 멈추고 단결하여 진정한 일본인, 하나의 일본이 되었다는 뜻이지. 이런 의미에서, 1592년에 발발한 전쟁은 매우 의도적이었다고 볼 수 있지.

 

 신라계인 나조차 과거 신라계 지배 구조로 엮어진 조선에 대한 침략에 참여하게 된 것은, 바로 그런 역학관계 때문이라고 보면 될 걸세. 잘 알겠지만, 전쟁 후 정권의 변화 역시, 두 계파 간 힘이 교차되는 과정이라고 보면 될 것이고….”

 

 한반도와 일본 간의 세력구도, 그리고 일본 내의 세력재편 등, 쓰네나가의 이야기를 들으며, 석희는 쓰네나가가 임진왜란의 참가자라는 묘한 원한의 감정에서, 어쩌면 그에 대한 동점심 같은 것도 느꼈다.

 

 “우리의 여행에서 석희는 가장 큰 역할을 해준 사람이지. 나는 그대를 통해 많은 것을 배웠고, 고맙게 생각하네. 아울러, 나에 대한 적대감이 있다면 버리고, 나를 용서해주길 바라네.

 

 나는 오히려 그대와 가까워지고 싶었고, 그대가 나를 형제로 받아주기를 처음부터 원했다네. 우리는 본국에서 떠나 섬나라에 밀려온 사람들이라는 생각과 무의식적인 피해심리가 늘 한반도, 즉 본국과 그곳에서 온 사람에 대한 애증으로 변했다고 생각하네.

 

 일본이 한반도를 침략하는 것은 본향을 찾으려는, 그리고 과거를 지우려는 일본의 무의식이 작용하는 것이라 생각하네. 그래서 더욱 잔인하게 굴었지.

 

 그러나 잔인해진다고, 책을 불태운다고, 역사는 지워지지는 않고, 오히려 더욱 큰 불이 된다는 게 내가 깨달은 교훈이지.

 

 진시황제의 분서갱유가 결국, 그의 뜻대로 되지 않았고, 오히려 금서 이후에는 훨씬 많은 논의와 수많은 유사한 책들이 나와서, 역으로 더 큰 그 효과가 나타난 것처럼, 일본인들이 역사적 자료를 바꾸고, 지우고, 불태우고, 약탈했지만, 그로 인해 역사적 진실은 더욱 더 드러났다네.

 

 일본인 스스로도 치유할 수 없는 큰 상처가 되었지. 잔인하면 잔인할수록 각인되고, 떼어내면 떼어낼수록 더 달라붙는 그런 것 말일세.

 

 결국 이런 자가당착 속에 사는 일본인들에게는, 한반도에서 태어나고 자란 조선인들을 부러워하는 것이 마음 속 깊은 곳에 자리잡고 있다고 봐야할 것일세. 내가 그대와의 긴 여행 중에도 이런 열등감 같은 것을 느꼈다고 솔직히 고백하네.

 

 일본은 커다란 죄를 저질렀지. 그 원한의 감정이 역사에 반영되었고. 일본이 동양이 아닌 서양을 만나게 된 것은 어쩌면 운명적 사건이지. 조선을 통해서, 중국을 통해서 들어오는 것 갖고는 조선과 중국을 능가할 수 없었던 차에, 방향을 전환하는 기회가 찾아온 것이고, 그것을 의도적으로 받아준 것이지.

 서양을 끌어들여, 그들로부터 선진 기술을 배워서라도 그 열등감을 극복하려했지. 어떤 식으로든, 언젠가는 본국을 이겨야한다는 게 일본인들에게 자리잡은 변화와 힘의 원천이었어. 일본의 발전은 강한 열등감에 뿌리를 두고 있다는….

 

 그대들이 말하는 임진왜란과 정유재란은 그 원한의 앙갚음 같은 것이겠지. 마사무네나 나는 개인의 생각과 의지와는 관계없이, 오직 집단무의식에 이끌려 전쟁에 참여해야 했지.

 

 참으로 조선을 처참히 짓밟았어. 수많은 사람들을 끌고 왔지. 조선의 여인들과 아이들을 처참히 유린했어. 더욱 더 한 것은, 서양인들에게 노예로 팔아 넘겼지. 그래야 원한이 풀리는 것 같았던 거야. 그야말로 씻지 못 할 죄를 지은 것이지. 아마도 이런 유전자는 일본인들에게 잔존하여 과거나, 현재에도 그랬고 미래에도, 늘 그렇게 할 수 있는 날을 호시탐탐 엿볼 것이라고 봐.

 

 조선은 이런 일본을 이해하기 어려울 것이지만, 문제 해결방법 중의 하나는, 조선이 더 큰 아량으로 일본을 대해주는 것이네. 그게 일본의 상처를 치유하는 길이라고 보네. 일본은 열등감에 싸인 자신들을 조선이 인정해주고, 같은 형제로 받아주기를 간절히 원하고 있는 지도 모르네.

 

 잘 생각해봐. 조선인들은 일본인들을 야만인이라고 무시하지. 그것이 일본인들에게는 사무친 서러움이 되었어. 이제부터라도 형제로서 인정하고, 밖의 세계에 공동으로 대처하는 자세가 양국 간 앙금을 없애는 지름길이라고 생각하네.

 

 반도국 조선은 중국 지역에서 오는 세력에 의해, 또는 남쪽에서 오는 일본 세력에 의해 늘 괴롭힘을 당했지. 양쪽의 그 누구도 상대방과 더 가까워지는 것을 원치 않았기에, 한쪽의 힘이 강해지면, 늘 자기 쪽으로 끌어들이려 했고, 그것이 수많은 침략 전쟁이 된 것이지.

 

 물론, 주된 희생자는 늘 조선 사람들이었고. 이런 상황에 노출된 조선은 정쟁으로 들끓었고, 내부 분열은 결국, 나라를 혼란 속에 빠뜨렸지. 이쪽과 친하게 지내야 한다, 저쪽과 친하게 지내야 한다….

 

 늘 그 선택의 기로에 서서, 각자의 이해와 해석에 따라, 주도권은 바꿔지고, 그것은 이내 내부 분열로 이어졌던 것이네.

 

 조선이 지향해야 할 방향은, 이쪽과 저쪽의 선택이 아니라, 내부적으로 뭉치고 단단해지는 것이라네. 그게 살 길이지!

 

 안이 통합되고 단결되어야 외부의 압력에 맞설 수 있다는 말이네. 아니, 외부의 압력이 먹히지 않고, 조선을 강제로 자기 쪽으로 편입시키는 게 아니라, 어쩔 수 없이 양쪽에서 조선을 서로 선택하게 되어, 그야말로 조선 중심의 세계를 만들 수 있다는 것이네.

 

 지금 스페인이 그런 모습으로 파악되네. 반도국이지만, 유럽에서는 가장 먼저 통일을 이루고, 그 힘이 원천이 되어, 아메리카와 아시아, 그리고 아프리카로 진출하게 된 것이지.

 

 외부로의 침략을 받는 게 아니라, 스스로 힘을 키워 외부로 나아가는 것 아니겠는가.

 

 조선은 특히 일본과 형제의 나라라는 인식을 하는 게 중요하네. 아무리 일본이 역사를 부정하고, 스스로 조선에서 건너온 존재라는 것을 부인하더라도, 그것은 변할 수 없는 역사의 진실이며, 언젠가는 일본인 스스로도 수긍할 것이네. 조선과 일본은 형제간 대결을 그치고, 그 형제가 힘을 합해서, 외부로 확장해나가는 길을 선택해야 할 것일세.

 

 이것이 바로, 중국과 일본의 사이에서 조선이 취해야할 자세고, 역할일세. 스스로 자기 정체성을 유지하면서 살 수 있는 길이라고 보네.

 

 형제간의 다툼이 더욱 큰 불행을 낳지만, 또한 형제 간의 단합은 그 어떤 문제도 풀 수 있는 열쇠라네.

 

 나를 용서하게. 나를 형제로 받아주게. 우리는 기독교인으로서도 형제가 아닌가. 그리고, 미안하지만, 몸이 불편한 나오끼를 꼭 부탁하네. 형제의 마음으로 그를 돌봐주게. 그가 병에서 낫도록 힘써주고, 혹시 그가 세상을 떠나거든 좋은 곳에 잘 묻어주게.

 

 그리고, 그 다음의 일에 대해서는 그대 자유네. 여기에 남을 수도 있을 것이고, 어떤 방법을 써서라도 조선에 돌아갈 수도 있을 것이네. 만일 일본으로 돌아온다면, 그리고 나를 필요로 할 때는 언제든지 날 찾아오게. 그러나 우리가 돌아갈 일본의 상황은 우리 기독교인들에게는 아주 혹독할 걸세.

 

 그리고, 윤훈에 대해서는 걱정하지 말게. 자네도 이미 그의 의사를 물어봤겠지만, 그가 원하는대로 내가 책임을 다 해주겠네. 난 조선인과 형제이면서, 조선의 침략에 가담했던 나의 과거를 깊이 반성하고 있네.

 

 이제 다시 형제로서의 역할을 하고 싶네. 자네의 형제며, 나의 형제인 윤훈에 대해서는 걱정하지 마시게.”

 

작가의 말
 

 일본인들은 조선에서 끌고온 조선의 소년소녀들을 포르투갈 상인들에게 팔았다.

 
 

맨위로맨아래로
NO 제목 날짜 조회 추천
37 37. 바르똘로메 로드리게스 꼬레아 (Bartolomé Ro… 2/22 202 0
36 36. 고문서 (Documentos antiguos) 2/21 215 0
35 35. 윤종국 (Familia YOON) 2/10 211 0
34 34. 고백 (Confesión) 2/10 218 0
33 33. 꼬리아 델 리오 (Coría del Río) 2/2 209 0
32 32. 담배공장 (Real Fábrica de Tabacos de Sevilla) 2/2 208 0
31 31. 그라나다 (Granada) 2/2 214 0
30 30. 피정 (Penitencia) 2/2 200 0
29 29. 객줏집 (Venta del Quijote en Puerto Lápice) 2/2 200 0
28 28. 장례식 (Funeral) 1/30 220 0
27 27. 헌사 (Dedicatoria al Conde Lemos) 1/30 200 0
26 26. 위작 (El Quijote de Avellaneda) 1/30 194 0
25 25. 안또니오 꼬레아 (Antonio Correa) 1/24 199 0
24 24. 클로드 데루와 (Claude Deruet) 1/24 250 0
23 23. 로마 (Roma) 1/24 205 0
22 22. 바르셀로나 (Barcelona) 1/24 216 0
21 21. 똘레도 (Toledo) (1) 1/23 257 0
20 20. 과달끼비르 (Rio Gudalquivir) 1/23 213 0
19 19. 포로 (Cautivo) 1/23 194 0
18 18. 앙헬리까 (Angelica) 1/23 211 0
17 17. 아나 마르띤 (Ana Martin) 1/23 213 0
16 16. 자유 (Libertad) 1/23 219 0
15 15. 멕시코 (México) 1/23 207 0
14 14. 미션 (Misiones) 1/23 215 0
13 13. 사무라이 (Samurai) 1/23 216 0
12 12. 배 (Barco San Juan Bautista) 1/23 224 0
11 11. 나가사키 (Nagasaki) 1/23 212 0
10 10. 거북선 (Barco Tortuga) 1/23 230 0
9 9. 소설 (Novela) 1/23 218 0
8 8. 명심보감 (Espejo rico del claro corazón) 1/23 215 0
 
 1  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