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연재 > 일반/역사
귀향 (세르반테스를 만난 조선인)
작가 : 윤준식 YOON
작품등록일 : 2022.1.23
  첫회보기
 
2. 진해 (Jinhae)
작성일 : 22-01-23     조회 : 84     추천 : 0     분량 : 2089
뷰어설정열기
기본값으로 설정저장
글자체
크기
배경색
글자색
맑은고딕 나눔고딕 돋움 굴림 궁서 바탕
13 15 17 19 21

  2.진해

 

 “형아, 우리 언제 다시 돌아올까?”

 

 멀어지는 육지를 바라보고 있는 권성빈은 대답을 하지 못하고 말았다.

 

 진해를 출발한 배에는 각종 물건들이 가득했다. 비석, 도자기, 화문석, 여러 형태의 그림 등 조선의 여기저기서 가져온 것들이다.

 

 대마도를 향하는 배에는 이런 물건 외에, 가톨릭 신부와 조선인 소년 두 명이 타고 있었다. 신부의 이름은 그레고리오 데 세스뻬데스.

 

 그는 1593년 겨울, 조선에 들어온 후, 거의 일 년의 시간을 진해의 웅천에서 보냈다. 처음에는 일본군 진지에만 머물렀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주변 마을을 다닐 수 있었다.

 

 비록 일본군 중 가톨릭 신자들을 위해, 특히 전쟁터가 된 조선에 종부성사를 위해 왔지만, 내심 그에게는 복음전파라는 의무가 더욱 중요했다.

 

 외부세계에 전혀 알려지지 않은 조선이라는 나라는 새로운 선교사역의 대상이었던 것이다.

 

 그는 특히 아이들과 가까이 보냈는데, 대부분 전쟁 고아들이었다. 점차 밖으로 나가 아이들과 접촉이 많아지면서, 그레고리오는 몇 명의 아이들을 병영으로 불러 함께 밥도 먹고, 놀아주기도 했다. 이 과정에서 낯설기만 한 성경을 자연스럽게 접하도록 했던 것이다.

 

  한편, 자신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언어가 중요했기에, 우선 자신의 모국어인 스페인어를 가르쳐주기로 마음먹었다.

 

 아이들 중에서 한 명의 아이가 가장 눈에 들어왔다. 워낙 쾌활한 성격에다, 부모도 집도 없는 고아라서 아예 신부의 거처에서 함께 보낼 수 있었다. 그의 스페인어 습득력은 매우 빨랐다.

 

 그의 이름은 송석희라고 했다.

 

 웅천의 석희가 그레고리오 신부와 거의 함께 지내고 얼마 후, 한 아이가 병영에 들어왔다.

 

 십 대 초반의 그는 한양에서 왔다고 했으며, 조선 장군의 아들이라는 말을 들었다. 말하자면, 전쟁 볼모로 잡혀온 것이었다. 나이는 어리지만, 품위를 지키려는 그의 태도에서 그레고리오는 깊은 인상을 받았다.

 

 마침 사교성 좋은 석희가 금방 그에게 형이라고 불렀고, 그를 매우 따랐다. 그 덕분에 그레고리오 신부는 그와도 함께 보내는 시간이 많아졌다.

 

 그의 이름은 권성빈이라고 했다.

 

 석희의 스페인어 능력이 좋아지는 것과 함께, 성빈도 어느 정도 스페인어를 구사할 수 있게 되었다.

 

 성빈이 웅천에 온 후, 약 3개월이 지날 무렵, 그레고리오 신부에게는 일본에 다녀와야 하는 일이 생겼다. 자신이 온 후의 조선에서 벌어진 상황을 일본에 있는 예수회 본부에 직접 알리고, 자신이 쓴 보고서를 교황청에도 보내야 했기 때문이었다.

 

 비록 전쟁 중이지만, 이 기회에 조선에서 본격적인 선교사업을 하고 싶었기 때문이다. 조선의 상황을 외부에 알려 더 많은 선교사를 파견해줄 것을 요청하고, 성경책을 물론, 각종 서적과 기자재를 가져올 생각이었다. 특히, 스페인어를 가르치기 위한 교재도 필요했다.

 

 가톨릭 신자였던 고니시 유키나가로부터 조선에 가자는 통보를 너무 늦게 받고, 급하게 출발했기에 선교에 필요한 자료들이 거의 없는 상태였다.

 

 한편, 그레고리오 신부가 대마도로 가는 배편을 알아보고 있는 중에, 대마도의 도주가 찾아왔다. 그의 이름은 소 요시토시며, 총사령관인 유키나가의 사위였다.

 

 그는 대마도로 가는 편에 자신의 아내에게 보내는 편지와 함께, 병영에 있는 두 아이들을 아내의 일을 도와줄 수 있도록 데려가 달라고 요청했다.

 

 신부는 정든 아이들과 함께 있을 수 있다는 생각에, 한편으로는 반가웠지만, 또 한편으로는 아이들이 자기 나라를 떠난다는 것, 그래서 앞으로는 이국의 땅에서 살아야한다는 것, 그것도 하인이 되어야 한다는 것에 대해 마음이 무거웠다.

 

 그는 여러 고민 끝에 스페인어를 배운 이들을 통해, 지금 일본에 끌려간 많은 조선인들을 교화할 수 있는 길을 열 수도 있겠다는 희망도 갖게 되었다. 한편, 도주의 아내, 마리아에게 청하여, 자신이 데리고 갈 수 있게 해달라고 요청할 생각도 하였다. 그간 자신이 마리아를 대하면서 그녀가 그 정도의 부탁은 충분히 받아줄 것이라는 확신도 하게 되었다.

 

 그레고리오 신부는 조선을 떠나기 전, 조선의 두 아이들에게 셰례식을 거행했다. 물론 자기의 숙소에서 약식으로 했다. 성빈에게는 비센떼, 석희에게는 바르똘로메라는 이름을 부여했다. 1594년의 일이다.

 

 
 

맨위로맨아래로
NO 제목 날짜 조회 추천
37 37. 바르똘로메 로드리게스 꼬레아 (Bartolomé Ro… 2/22 225 0
36 36. 고문서 (Documentos antiguos) 2/21 240 0
35 35. 윤종국 (Familia YOON) 2/10 230 0
34 34. 고백 (Confesión) 2/10 234 0
33 33. 꼬리아 델 리오 (Coría del Río) 2/2 232 0
32 32. 담배공장 (Real Fábrica de Tabacos de Sevilla) 2/2 235 0
31 31. 그라나다 (Granada) 2/2 239 0
30 30. 피정 (Penitencia) 2/2 227 0
29 29. 객줏집 (Venta del Quijote en Puerto Lápice) 2/2 226 0
28 28. 장례식 (Funeral) 1/30 237 0
27 27. 헌사 (Dedicatoria al Conde Lemos) 1/30 226 0
26 26. 위작 (El Quijote de Avellaneda) 1/30 222 0
25 25. 안또니오 꼬레아 (Antonio Correa) 1/24 219 0
24 24. 클로드 데루와 (Claude Deruet) 1/24 276 0
23 23. 로마 (Roma) 1/24 229 0
22 22. 바르셀로나 (Barcelona) 1/24 233 0
21 21. 똘레도 (Toledo) (1) 1/23 284 0
20 20. 과달끼비르 (Rio Gudalquivir) 1/23 235 0
19 19. 포로 (Cautivo) 1/23 216 0
18 18. 앙헬리까 (Angelica) 1/23 228 0
17 17. 아나 마르띤 (Ana Martin) 1/23 234 0
16 16. 자유 (Libertad) 1/23 240 0
15 15. 멕시코 (México) 1/23 235 0
14 14. 미션 (Misiones) 1/23 239 0
13 13. 사무라이 (Samurai) 1/23 236 0
12 12. 배 (Barco San Juan Bautista) 1/23 244 0
11 11. 나가사키 (Nagasaki) 1/23 242 0
10 10. 거북선 (Barco Tortuga) 1/23 259 0
9 9. 소설 (Novela) 1/23 243 0
8 8. 명심보감 (Espejo rico del claro corazón) 1/23 233 0
 
 1  2  >>